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구글 플레이 비공개 테스트
- 구글 플레이 스토어 배포 방법
- 객체지향설계
- 플레이스토어 비공개 테스트
- 운영체제 #CS지식
- 프리코스
- 객체지향
- 우테코
- 설계
- git
- 기능명세서
- 구글 비공개 테스트 20명
- 클린코드
- 플레이 스토어 20명
- 커밋 메시지
목록전체 글 (48)
GYUD-TECH

평소에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stream의 map 메서드만 사용하여 코드를 작성했다. stream을 사용하면 코드를 더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이번 기회에 stream을 직접 사용하면서 공부하기로 하였고, 우테코 프리코스에 어떻게 stream을 적용하였고, 이 과정에서의 느낀점을 작성하였다. Stream 적용 과정 이번 과제에는 자동차들이 이동 횟수에 따라 이동을 한 후, 우승자를 구해야 하는 기능 요구사항이 있었다. 아래 코드는 이름과 위치 정보가 담긴 자동차 객체들을 매개변수로 받아 우승 자동차의 이름을 구하는 코드이다. 먼저 차들의 위치 값들 중 가장 먼 위치를 구한 후,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 자동차들의 이름을 얻는 방식으로 코드를 작성하였다. public static List dec..

드디어 우테코 프리코스가 시작되었다. 1주차 과제는 숫자야구게임 구현하기! 과제 설명은 아래 깃허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github.com/Gyu-won/java-baseball-6 GitHub - Gyu-won/java-baseball-6 Contribute to Gyu-won/java-baseball-6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과제는 요약하면 기능명세, 코드 구현, 리팩토링 이다. 과제를 진행하면서 디스코드에서 공유된 자료들의 도움도 많이 받았으며, 학교에서 2명의 친구와 함께 스터디를 만들어서 서로 코드 리뷰를 하는 과정에서도 다양한 관점을 배울 수 있었다. 여러 관점들과 방식들을 배우면서 정답은 없..

커밋을 세부 기능단위로 작성해야 하는 이유는 아래 2가지 라고 생각한다. 에러가 발생했을 때 세부 기능단위로 돌아갈 수 있다. 내가 지금 어느 부분을 코딩하고 있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다. 2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커밋 메시지를 통해서 커밋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줘야 한다. 커밋 메시지를 잘 작성하기 위해서 했던 고민들과 내가 생각한 효율적인 커밋 메시지 작성법을 공유한다. 커밋 메시지 패턴에 대한 고민 git을 처음배우고 사용할 때는 커밋 메시지의 중요성을 몰랐다. 그래서 Ctrl+s를 누르듯이 그날 하루의 코딩을 다하고 집에 가기 전에 commit을 하였다. 하지만 협업을 하면서 커밋 메시지의 중요성을 알게되었고 어떻게 하면 좋은 커밋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지 공부하였다. 최근까지 아래 블로그..

평소에 클린코드라는 말을 많이 듣긴 하였지만 실제 클린코드를 짜기 위해서 고민 한적은 없다. 대학생때 친구들과 진행한 프로젝트에서는 협업을 하더라도 내가 짠 코드는 나만 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클린코드의 중요성을 별로 못 느꼈던 것 같다. 우테코 프리코스를 하면서 nextStep 책을 사서 읽게 되었고 제일 앞에 등장하는 극단적인 리팩토링 방법은 충격이였다. 이 방식을 실제로 프리코스에도 적용해 보았고, 클린코드에 대해서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적용했던 클린코드 아래는 1주차 과제에 적용했던 클린코드 포맷이다 1. 한 메소드는 한 개의 역할만 수행하는가? 2. 메소드는 최소한의 들여쓰기를 적용하였는가 (1까지만 허용) 3. 메소드를 10 줄 이하로만 허용하였는가 4. 메소드의 인자 수를 제한했는가 (..

우테코 프리코스를 하면서 공부한 나만의 기능명세서 작성법을 공유한다. 아래의 방식을 사용하면 객체의 역할을 알아보기 쉽고, 어떻게 구현할지 전체적인 그림이 그려진다는 장점이 있다. 기능명세서 작성에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렇게 작성할 수도 있구나' 정도로 참고했으면 좋겠다. (참고로 나는 객체지향의 관점에서 기능명세서를 작성한다) 우테코 프리코스 백엔드 6기 1주차 과제는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github.com/Gyu-won/java-baseball-6 GitHub - Gyu-won/java-baseball-6 Contribute to Gyu-won/java-baseball-6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

카카오 멘토링때 멘토님이 추천해주셔서 알게 된 책이다 계속 안읽고 미루다가 이번 추석 때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면서 공부를 하기는 애매해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책을 읽기전에 나는 그동안 객체지향 언어를 공부하면서 객체지향이 뭔지 제대로 알고 있는가를 한번 생각해 보았다. 객체지향이랑 무엇일까? 학교에서 배운 상속, 다형성, 클래스 등등을 많이 떠오른다. 근데 객체지향은 말 그대로 객체를 지향한다는 말이니까 객체가 중심이어야 할 것 같다. 책을 읽으면서 가장 많이 나온 말이 협력, 역할, 책임 이다. 말만 들으면 잘 이해가 되지 않지만 다양한 예시와 그림을 통해서 읽는이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글의 후반부에는 역할과 책임을 가지는 객체들이 어떻게 협력을 할 수 있는지 코드를 보여주며 설명..